잇따르는 대규모 재난. <br /> <br />재난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생명을 잃었고 <br /> <br />충격과 공포, 나아가 전 국민적 슬픔으로 이어졌는데요. <br /> <br />우리 사회가 안전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? <br /> <br />최광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최악의 재난들 <br /> <br />재난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생명을 잃었고, 충격과 공포, 나아가 전 국민적 슬픔으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2023년 10월. 지금의 우리는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에 살고 있을까요? <br /> <br />[이영주 /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: 고전적인 과거의 재난이라고 하면 대부분 자연재해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일어나거나 익숙하거나 개념적으로 알고 있는 재난이 주가 됐다면, <br /> <br />최근의 재난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 이를테면 피해 유형이나 원인 자체도 다른 새로운 유형의 재난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는 점 이런 유형이 신종 재난이라고 볼 수 있고요] <br /> <br />재난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만큼 정부 또한 재난안전관리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이태원 참사 이후, 정부는 ‘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'을 통해 재난안전관리체계 전반을 개편하고, 나아가 ‘안전한 대한민국'을 도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재성 /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: 재난 관리 체계나 어떤 조직, 예산은 굉장히 강화되고 선진화된 것은 분명합니다. 중요한 것은 재난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조직 담당자가 충분한 전문성을 갖추고 재난에 대한 것들을 예방하고 대비하고 대응해야 하는데 한두 명이 그 어마어마한 재난안전관리와 관련된 업무를 실질적으로 거의 담당하게 된다는 것이죠.] <br /> <br />지난 7월 발생한 오송 지하차도 참사. 부실한 임시제방을 감시·감독하지 못한 것이 사고의 선행 원인이었고, 재난 담당 공무원에 대한 질책과 징계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에 대한 책임은 져야 하지만, 재난 담당 부서 공무원들은 고충을 토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재난 담당 공무원 : 부서가 바뀌면 ‘해보자' 하는 의욕이 있는데 재난부서는 의욕이 안 생기는 부서예요. 봄에는 산불, 여름은 비, 가을은 태풍 겨울에는 대설. 거기에다가 각종 질병. (행안부에서는) 수백 명에서 하는 일을 도에서는 수십 명에서 하고 시군으로 가면 서너 명에서 하는 거죠 감당 못 해요. 그 일을 태풍 와도 집 부서지고 뭐 해도 사람만 제발 안 죽었으면 좋겠다. 기도하면서 하루하루 근무하는 거죠.] <br /> <br />[박재성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광현 (choikh81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2906353434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